오늘은 비트코인이 화폐 가치를 갖는 이유 3가지 대해서 얘기하겠다. 정확하게 얘기하면 화폐에 준하는 내재적인 가치에 대해서 정리할 것이다. 사이버머니인지 아니면 진짜 화폐인지 논란이 많은 상황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먼저 명확히 짚고 넘어가겠다.
반감기가 계속 오면 비트코인 채굴양은 최종적으로 2,100만개로 종결이 되는데 양이 한정적이라서 화폐로써 가치가 있을까? 라는 질문에서 출발한 내용이다.
용어 정리
비트코인을 만든 사토시의 논문을 보면 화폐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고, e캐시라는 말을 쓴다. 이게 사이버머니라는 얘기.
근데 이게 언제부터 입소문이 나서 투자자산으로 등극했는지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 암호화폐라는 말로 통용이 되면서 혼란을 가져왔다.
현실적으로 기존 법정 화폐를 대체하는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고, 카카오페이 또는 네이버페이처럼 디지털 머니로 활용될 가능성은 높을 것이다.
그러다가 각국의 화폐 가치가 통일이 되는 아주 말도 안되는 상황이 온다면 비트코인이 진짜 화폐로 대체될 수도 있는데, 이게 가능하려면 지구가 다시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불가능할 것 같은 상황이 올 수도 있다는 것을 가정하고서 본 내용을 보기 바란다. 믿고 말고는 본인 자유.
1. 총량
비트코인은 함수 문제를 풀면 채굴된다. 채굴을 곧 보상이라고 하는데 보상되는 양은 대략 4년마다 절반씩 줄어들며, 최종적으로는 총량이 약 2,100만 비트코인에 수렴하도록 정해져 있다. 더이상 채굴이 안되는 시기가 약 2140년.
이 양만 가지고는 전세계 모든 사람들이 화폐로 쓸 수 없는 양인데, 다행히 소수점 아래 8자리까지 쪼갤 수 있다. 그리고 양이 더 필요하면 쪼개는 단위를 더 늘릴 수도 있다. 전세계 공용 화폐로 쓰기에 충분한 양이다. 디지털 머니로 쓰기에도 충분.
문제는 24년 현재 비트코인 1개가 1억원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는 것이다. 가치 변동성을 누가 제어할 것인가? 이건 기술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2. 보안, 안전
보안 관련해서는 기존 은행의 금융 시스템보다 훨씬 낫다고 평가받는다. 그렇다고 해서 기존 금융 시스템이 허술한 건 아니다. 그렇게 따지면 지금 국민은행에 넣어둔 돈이 해커들에게 다 털려야 하는데 수십년 넘게 잘 보관하고 있다. 그리고 은행을 믿을 수 있는건 국가 기관에서 통제를 하고 있는 것도 한 몫한다.
비트코인이 왜 안전한가? 해커들에게 털린다는 건 조작이 가능하다는 얘기인데, 비트코인의 연산 능력은 하나의 국가가 소유하고 있는 슈퍼컴퓨터들을 다 합친 것보다 약 100,000배 높다. 근데 이 차이는 계속해서 벌어진다. 조작되어서 내 계좌가 털릴 확률이 0%에 가깝다는 얘기이다.
3. 보증만 된다면?
비트코인이 화폐냐? 라는 질문에 대해서 논란이 있을 때 또 하나 논란이 되는게 분산 원장 개념이다.
원장은 주민등록등본, 등기부등본, 학적관련 증명서 이런걸 얘기하는데 이건 국가나 민간기관이 보증하고 법으로 정해놓은 약속이다.
근데 암호화폐 전문가라고 하는 교수도 원장이 법적으로 보호를 받는 서류인 것도 모르고 그냥 위변조가 불가능한 서류를 만들 수 있다고 자랑을 한다. 그리고 이걸 국가가 받아들일지 말지 판단하는건 본인은 모르겠다고 한다.
무슨 말이냐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도 모르고 비트코인 기술이 모든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떠드는 것이다.
사실 암호화폐가 국가를 장악하고 법을 제정할 수 있을 정도가 된다면 이런 논란도 없을 것이다. 현재는 정치와 법률 분야는 사람이 하는 일이고 기술이 넘볼 수 없는 문제이다. 만약에 비트코인과 이에 파생된 암호화폐들이 이걸 전부 다 대체할 수 있게 만들어진다면 대체 화폐가 되는건 식은 죽 먹기일 것이다.
비트코인을 찬양하거나 개발을 해야된다는 엔지니어들이 논문 결론 파트에서 현실성없이 100년 뒤에 이루어질까 말까하는 가능성에 대해서 떠들어대는 걸 너무 믿지 말자.
현재는 디지털 머니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고, 지금 이걸 가지고 거래소에서 금액이 결정되는 것도 사실상 우스운 얘기이다.
간단히 생각해보자. 비트코인을 가지고 있으면 할 수 있는게 뭐가 있는데? 여기에 대해 답해보면 이게 얼마나 터무니없는지 알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비트코인이 화폐 가치를 갖는 이유 3가지 대해서 알아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