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삼성증권 개인연금 저축펀드 가입 방법 3가지를 소개한다. 인터넷이나 모바일 앱에서 버튼을 눌러가면서 가입하는 절차를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 상황에 따라서 가입 방법이 달라지는 부분을 소개하려고 한다. 그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도 함께 공유한다.
[ez-toc]
개인연금저축이란? +혜택
만 55세 이후에 연금으로 받을 수 있는 개인 계좌다. 국민연금은 의무이지만 개인연금저축은 본인 자유 의지에 따라서 가입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개인연금"이라는 4글자로 상품이 판매되어왔다가 현재는 저축이라는 이름이 더 붙어서 국가에서 주는 혜택을 더 추가했고, 정부 개입이 약간은 들어가 있다. 해당 계좌의 핵심 혜택은 매년 600만원만 넣어두면 세금 환급금 최대 99만원이 나온다는 것이다. 주식처럼 수익률로 얘기를 하면 16.5%이다.
펀드와 보험 2가지 상품 중 하나 또는 둘 다 선택할 수 있는데, 펀드는 이름 그대로 주식이나 파생상품에 투자까지 할 수 있다. 해외 투자하는 경우에는 돈을 인출하기 전까지는 소득세를 매기지 않으니까 이득이다.
가입 방법
1. 자유 입출금 통장처럼 개설
이게 무슨 특별한 계좌가 아니고 모바일앱 켜고 본인인증만 하면 1분 내로 개설할 수 있는 아주 보편적인 계좌다. 그래서 가입 절차에 대해서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된다고 얘기한 것이다. 개설 후에 일시금으로 넣든 할부로 넣든 600만원까지만 넣으면 앞서 얘기한 대로 최대 99만원을 세금 환급받을 수 있다. 물론 뱉어내야 할 세금이 이만큼 있다는 전제하에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펀드 상품이기 때문에 투자 상품을 선택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다만, 본인이 원하지 않으면 투자 안 해도 되고 그냥 돈 묶어둬도 상관없다. 그런데 요즘에는 투자 안 하면 돈 못 번다는 것쯤은 기본 상식으로 알고 있을 것이다. 삼성증권에서는 연금저축으로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을 매달 추천해주고 있다. 투자 위험 정도에 따라서 저, 중, 고 3가지로 나눠서 제공하고 있으니까 참고해서 상품을 고르는 것도 방법이다.
2. 타사 연금저축 가져오기
다른 증권사에서 연금저축펀드에 가입한 이력이 있다면 삼성증권으로 이사할 수 있다. 방법은 아주 간단한데, 다음 3가지 절차가 거치면 된다.
- 삼성증권에서 연금저축 계좌 개설 과정 진행
- 타사 연금저축 계좌정보 입력
- 타사 연금저축 금융기관 연락받기
앞서 얘기한 대로 연금저축은 펀드와 보험 2가지 종류가 있다고 했는데, 타사의 경우 증권사든 보험사든 상관없다. 어떤 상품이든 삼성증권으로 이관이 가능하다.
3. 기존 "개인연금"에서 "연금저축"으로 전환
2001년부터 정부에서 제공하는 혜택이 더 커진 연금저축이라는 것이 새롭게 신설되었는데, 이전에 있었던 개인연금 상품을 아직도 유지하고 계신 분들은 새롭게 신설된 연금저축으로 전환할 수 있다. 물론 전환 안 하고 기존의 것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혜택을 받아도 된다. 기존 개인연금의 혜택은 약간의 소득공제 그리고 연금 수령액에 대해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한다는 것인데, 둘의 차이를 비교해보면 "연금저축"이 엄청난 이득이다. 신규 연금저축은 가입하자마자 매년 세액공제로 수익률 15%를 가져다주고, 연금 수령액에 대해서도 소득세 3.3~5.5%밖에 적용하지 않는다. 이제는 비교할 대상 자체가 아니다. 즉, 귀찮다고 전환 안 하는 분들은 남들보다 손해를 보는 것이다.
지금까지 삼성증권 개인연금 저축펀드 가입 방법 3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