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실업급여 두번째 단계인 수급자격 신청서 인터넷 제출 과정을 공유한다. 그리 어려운 과정은 아닌데 자격 조건이 확인되지 않으면 아예 진행자체가 안되는 문제들이 있다. 이것과 더불어서 신청서 작성 요령에 대해서도 정리했다.
[ez-toc]
들어가기 전에
실업급여 첫번째 단계인 수급자격 온라인 교육 후기를 먼저 참고하고 본 내용을 보기 바란다. 이게 끝나면 두번째 단계인 수급자격 신청서 인터넷 제출을 해야 한다. 인터넷 제출 단계는 고용센터를 방문하기 전에 집에서 하는 마지막 단계인데, 이 때 신청 자체는 그리 어렵지 않은데 이직확인서와 같은 행정 처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서 더이상 진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정리했다.
신청서 작성 전
인터넷 제출 메뉴로 들어가면 곧바로 신청서 화면이 나오는게 아니라 1차적으로 수급 자격이 되는지 자동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고용보험 가입기간 180일 이상 되는지, 피보험자격 상실신고서나 이직확인서가 처리되었는지 등을 자동으로 판단해서 결과를 보여준다. 이건 국가에서 내 개인정보를 다 가지고 있기 때문에 로그인만 하면 다 판단되는 부분이라서 과정 자체가 굉장히 깔끔하더라. 이 문제만 해결되면 대상자로 선정되는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면 된다.
1. 상실신고서 및 이직확인서가 처리되지 않은 대상자입니다
내가 퇴사를 하면 회사 인사팀에서 처리할게 2가지 있는데, 고용보험 상실했다고 노동부에 신고해야되고, 퇴사자가 이직확인서를 요청하면 10일 내로 제출해야 한다. 체계가 잡혀있는 회사라면 퇴사하자마자 바로 처리하게 되는데 모든 곳이 다 그런 건 아니니까 경우에 따라서 전화를 해서 빨리 해달라고 독촉해야할 수도 있다. 본인이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것 같으면 고용센터에 전화를 해서 도움을 받는게 좋다. 거기에서 알아서 다 해주더라.
2. 수급자격 신청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게 뜨는 이유는 정확히 알려진 건 없다. 고용보험 사이트가 불안한 것일 수도 있고, 앞서 얘기한대로 국가에서 개인정보를 스크래핑해와서 판단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을 수도 있다. 나도 이 문구가 뜬 적이 있어서 전화를 해서 문의를 해봤더니, 인터넷 제출은 생략하고 곧바로 고용센터로 오라고 했다. 원래는 예약하고 와야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그냥 가도 된다. 어차피 번호표 뽑고 기다려야 한다.
신청서 작성
특별히 서류가 필요하다거나 그런건 아니다. 질문사항에 대해서 입력만 하면 되는 거라서 어려운 게 몇 개 밖에 없더라. 아는 지인이 실업급여를 신청하면서 내가 옆에서 도와줬는데 이 때 어려울 것 같은 것만 아래에 정리했다.
1. 회사 정보
우선, 퇴사한 직장의 사업장명과 소재지 정보를 미리 알아두고 오면 좋다. 이거 못찾아서 헤매는 분들이 상당히 많더라. 해결 방법은 3가지인데, 하나는 회사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는 것, 둘은 비즈노 사이트에서 검색해보는 것, 마지막은 회사에 아는 지인에게 사업자등록증 사진을 찍어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다. 나는 애초에 이런 일이 벌어질 줄 알고 퇴사 직전에 사업자등록증을 사진으로 미리 찍어뒀었다.
2. 실업크레딧
실업급여 받는 기간 동안에 국민연금 보험료의 75%를 지원하는 제도이다. 매달 15,000원 정도만 내면 되는 거라서 그렇게 부담안된다. 사실 국민연금이라는게 젊은 사람들에게는 엄청 먼 얘기인것 같아서 그렇게 막 신경쓰이고 그러는 건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안할 이유도 없는 것 같다. 무조건 신청하기 바란다.
3. 방문예정일
신청 마지막 단계로 가면 센터와 방문일정을 선택하게 되어있다. 부득이하게 지정한 날에 고용센터에 방문하지 못하면 다른 날에 가도 된다. 예약자를 우선으로 받는 편인데 가보면 알겠지만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줄서있는 광경을 볼 수 있다. 예약대로 안되는 시스템이다. 방문하면 번호표를 뽑고 기다려야 한다. 지인과 같이 방문을 해봤는데 어느 시간대든 사람이 항상 많았던 걸로 기억한다. 우리는 오전 10시에 방문을 했었는데 차례가 오기까지 2시간이나 걸렸다. 센터마다 상황이 다를 수 있겠지만 어느정도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고 방문하기 바란다.
지금까지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서 인터넷 제출 후기 및 이직확인서 해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