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오펜하이머 해석 1분 요약

본 포스팅은 영화 오펜하이머를 보고 나서 답답한 부분을 시원하게 긁어주는 해석 요약을 공유한다. 아직 보지 못한 분들도 참고해도 좋을 것 같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것이라서 스포를 하더라도 크게 무방할 것으로 보인다.

[ez-toc]

왜 해석이 필요한가?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곤 하지만 막상 영화를 보고 나오면 무슨 내용인지 이해하지 못한 상태로 나오게 될 것이다. 어떤 사건에 초점을 맞춘 게 아니라 주인공을 중심으로 해서 주변 인물 간의 관계, 갈등을 주로 다뤘기 때문에 대화가 굉장히 많다. 3시간 러닝타임 내내 벌어지는 사건과 대화를 제대로 이해하고 싶다면 본 내용의 해석을 보고서 다시 한번 들여다보는 게 좋다. 넷플릭스나 티빙에 나오기를 기다려보자.

해석 요약

1. 영화 주제

크리스퍼 놀란의 얘기와 영화의 내용을 참고해 보면 이념 분단 시대에서 과학자들의 역할과 평가가 공정하지 못했다는 것을 전달하는 듯하다. 사실 지금도 이해관계가 생길 경우에 과학자들은 순수하게 자기 학문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 당시에는 전쟁이 벌어진 참혹한 시대였고, 당연히 모든 것에 기준이 없을 수밖에 없다. 놀란은 야만적인 시대를 오펜하이머를 통해서 표현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영화 마지막에 아인슈타인과 대화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아인슈타인이 한 말이 곧 오펜하이머가 겪는 딜레마 또는 내적갈등을 표현한 것이라고 본다.

"그들이 벌주고 나면 샐러드도 주고 감자도 주면서 연설을 시키고 훈장도 줄 거야, 너를 위한 게 아니라 자기들을 위한 것이지."


2. 공산당원 논란

본 영화에서 핵심 갈등은 2가지다. 하나는 핵폭탄을 개발해서 무고한 사람들을 죽인 것에 대한 내적 갈등, 다른 하나는 공산주의 관련 이력 때문에 청문회에서 고통받는 외적 갈등이다. 후자가 영화의 50% 이상을 차지하는데, 비논리적인 질문을 듣고 있으면 속으로 답답해 미칠 지경이다. 오펜하이머 주변에 공산주의자들이 많았던 것은 사실이다. 친동생도 그렇고, 첫사랑 진 태트록, 아내 캐서린 키티도 마찬가지다.

청문회는 2가지로 구분이 된다. 하나는 오펜하이머 청문회, 다른 하나는 스트로스 상무부 장관 임명 청문회다. 두 장면이 계속 중간중간에 오버랩되면서 마지막 1시간 동안은 청문회 내용으로 모든 것이 이루어지는데, 제대로 된 설명이 없다 보니 도대체 무슨 전개인가 싶더라. 스트로스 청문회가 흑백인 이유는 정확히 밝혀진 건 없지만 그 당시에는 흑백논리가 한창인 시기였다고 한다. 감독은 그 장면을 악한 것으로 판단한 듯하다.

3. 오펜하이머의 친구들

초반 1시간 동안 수십 명의 인물들이 나오게 되는데, 전부 다 알필요는 없고 오펜하이머와 가장 가까운 친구와 배신할 것 같은 쓰레기만 알면 된다.

통통하고 키 작고 안경 쓴 사람이 갑자기 튀어나오는데, 이 사람은 오펜하이머의 가장 절친인 이지도어 아이작 라비이다.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고, 공산주의 청문회에서도 끝까지 편을 들어준 사람이다. 조시 하트넷이 연기한 어니스트 로랜스도 마찬가지로 편을 들어준 친구다. 맥데이먼이 연기한 레슬리 그로브스는 이미 다 알고 있을 테니 더 설명하진 않고, 어찌 되었든 오펜하이머를 지지하는 사람 중 한 명이다.

막판에 데이비드 힐이라는 사람이 오펜하이머의 편을 들어주는 장면이 나온다. 이론 물리학자 중 한 사람이고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사람이다. 어디서 많이 본듯한 배우일 텐데 바로 보헤미안 랩소디의 프레디 머큐리역을 소화했던 배우다. 그런데 편들어 주는 장면은 실제로 벌어진 일이 아니라고 한다. 그러니까 이 사람에 대해서 너무 집중할 필요는 없다.

수소폭탄의 아버지가 된 에드워드 텔러는 맨해튼 프로젝트에서부터 연구 관련해서 갈등을 빚어왔는데, 원래 이쪽 계열 사람들은 본인의 뜻을 굽히는 걸 어려워하기 때문에 거기에서 온 증오심으로 인해서 배신 비슷한 것을 하게 된다. 나중에는 화해를 하긴 했지만 여전히 찝찝한 관계라는 의견이 많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연기한 스트로스는 실제로도 그렇고 본 영화에서 쓰레기다. 오펜하이머를 숙청하기 위해서 여러 사람들을 섭외하고 자료를 준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런데 서로의 갈등에 대해서 겉으로 확 드러나진 않아서 영화 보는 내내 의아한 부분이 많을 것이다.

지금까지 영화 오펜하이머 해석 1분 요약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영화 오펜하이머 후기 및 내용이 어려운 이유 3가지

상온 초전도체로 할 수 있는 것과 관련주 종목

이강인 PSG 중계 프랑스 리그앙 보는 곳 2가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