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청약 25만원 납입 인정 금액 청약 전략

24년 11월 1일부터 납입 인정 금액 최대 금액이 10만원에서 25만원으로 인상되었다. 그래서 2만원 이상 25만원 이하까지 인정금액으로 결정된 것이다. 청약 1순위 자격도 중요한데 가점에서 우위에 있으려면 납입 인정 금액이매우 매우 중요하다.

납입 인정금액?

국민주택에 청약 넣을 때 당첨 확률을 높이려면 납입횟수와 납입금액이 중요하다.

납입금액은 그냥 막 집어넣는다고 올라가는게 아니다. 무제한으로 넣게 만들면 돈 많은 사람들이 유리한 게임이 되니까.

그래서 제한을 걸어뒀는데 그게 바로 납입 인정 금액이다. 사람마다 월급에 차이가 있긴 하지만 25만원 정도는 꾸준히 넣을 수 있는 수준이다.

그래서 25만원을 꾸준히 넣어서 납입횟수와 납입금액이 높은 사람들한테 아파트를 가질 수 있는 우선권을 주는 것이다.

청약은 돈 많은 사람이 이기는 게임이 아니고 통장을 꾸준히 사랑하고 관리하는 사람이 이긴다.

청약통장 전환

지금 유통되고 있는 청약통장 이름은 ‘주택청약종합저축’이다. 여기에서 청년 전용 통장으로 파생된 것이 ‘청년주택드림통장’.

이게 신설되기 전에는 청약부금, 청약예금, 청약저축 3가지가 있었는데 이게 제한사항이 많다. 그래서 24년 11월부터 위 3가지 통장을 해지하고 지금 유통되고 있는 ‘주택청약종합저축’에 재가입할 수 있다.

해지한다고해서 기존에 쌓아뒀던 실적들이 사라지는게 아니고 고스란히 승계가 된다. 물론 통장을 교체하기만 했는데 청약 기회가 확대되었을 때는 기존 실적은 인정하지 않고 신규 납입분부터 인정한다. 이게 공평한거지.

청약 전략

1. 지역별로 청약 당첨 커트라인 확인

물론 이게 정답은 아니다. 과거 데이터이기 때문. 그렇다고해서 참고할 수 있는게 없기 때문에 이걸 믿고 전략을 짤 수 밖에 없다.

2. 총 납입 금액 결정하기

당첨 커트라인에 해당하는 항목은 가점 항목이다. 청약 가점은 무주택 기간, 부양가족수, 청약통장 가입 기간이 우선적으로 고려되고, 동점자가 나오면 납입횟수, 총납입금액이 적용된다.

수도권 공공분양에서 총납입금액 최소 커트라인이 1,200만원 수준. 서울 동작구 수방사는 2,770만원이었다.

납입 계획 세우기

1,200만원을 목표로 한다고 했을 때 25만원을 48개월 넣어야 된다. 청약 통장 이자가 최대 3.1%로 많이 올라갔기 때문에 이자소득까지 고려해서 납입계획을 세우면 되겠다.

관련 정보

2025 주택청약 소득공제 개편안 해석

아파트 청약 가점 및 당첨 확률 미리 알아보는 방법

[출처]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제10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