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청년도약계좌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자격 조건 3가지 중에서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이고요. 심사 절차를 거쳐서 최종 결과가 나오기는 하지만 미리 계산해볼 수 있다면 결과를 미리 알고 있는 상태니까 애타게 기다릴 필요가 없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소득과 재산을 합친 것인데, 국민 개개인이 잘살고 못사는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 만든 개념입니다. 예전에 코로나 지원금을 제공할 때 이걸 사용한 적이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 익숙하긴 할 거에요.
나라에서 중위소득이라는 기준을 두었으니까 이것과 비교하기 위한 본인의 것을 계산하는게 이번 내용의 핵심입니다. 본인의 것을 소득인정액이라고 부르는데, 가입하고자 하는 본인과 가구원 모두 포함해서 계산해야되기 때문에 복잡해요.
이걸 설명하는 입장에서도 마냥 쉽다고 얘기하고 싶지만 그럴 수가 없습니다. 애초에 어렵게 나온거니까요. 그러니까 우리 목표는 중위소득을 100% 계산하겠다는 목표를 버리고 큰 그림만 확인하는 것으로 만족해야 됩니다.
가구원 기준
등본에 나와있는 가족들을 기준으로 합니다. 그 중에서도 배우자, 부모, 자녀, 미성년자 형제 및 자매만 포함되고요. 나머지는 안됩니다. 만 19세 이상 성년이 된 형제 및 자매도 안되고요. 사실혼 관계자도 안되고, 동거인도 안됩니다. 당연히 친인척도 안되는거에요.
다만, 할아버지 할머니는 등본에 있고 본인이 부양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구원으로 포함시킬 수 있어요. 부양 여부는 건강보험 피부양자 여부로 확인을 합니다.
가구원을 굳이 따지는 이유가 있습니다. 중위소득을 판단할 때 인원수가 많을수록 유리하거든요. 예를 들어서 혼자 살면 200만원 이하여야 하는데, 3인이면 600만원 이하여야 한다는 식입니다. 인원수가 많을수록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는데 유리한겁니다.
중위소득 180% 이하 기준
아래표를 참고하시기 바랄게요. 월 기준으로 보면 됩니다. 본인의 소득인정액을 계산한 다음에 아래표와 비교하면 되는거에요.
가구원 수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1인 | 3,500,661 | 3,740,206 | 4,011,201 |
2인 | 5,868,153 | 6,221,079 | 6,628,696 |
3인 | 7,550,461 | 7,982,669 | 8,486,383 |
4인 | 9,217,944 | 9,721,735 | 10,313,843 |
5인 | 10,844,127 | 11,395,238 | 12,052,323 |
6인 | 12,432,607 | 13,010,366 | 13,713,064 |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
보건복지부에서 제공하는 모의계산기를 이용하면 됩니다. 링크를 들어가보면 국민기초생활보장에 대한 모의계산기가 나오게 되는데 이걸로 계산하면 됩니다. 비슷한 개념이거든요.
가구원에 대한 기본정보는 개념이 다르니까 대충 입력하기 바라고요. 소득정보와 재산정보만 입력해서 최종 결과를 보시면 됩니다.
결과를 볼 때는 소득인정액이 얼마인지만 확인하면 되고요. 나머지 정보들은 볼 필요가 없습니다.
비교
중위소득 180% 기준과 소득인정액 2가지를 비교해서 내가 조건이 되는지 확인만 하면 끝납니다.
예를 들어서 본인이 3인 가구라고 하고요. 2023년 12월에 가입을 한다고 하면 2022년 기준인 7,550,461원과 비교를 하면 됩니다. 소득인정액이 이것보다 낮으면 합격이죠.
2024년 기준 언제 쓰나?
이 부분만 알면 청년도약계좌에서 중위소득 내용은 100% 이해한겁니다. 제목은 2024년 기준 언제쓰는지 묻는거였지만 2022년 2023년 기준을 언제 어떻게 쓰는지 알아보는 겁니다.
소득인정액이 뭔가요? 내가 벌어들인 소득이랑 보유하고 있는 재산이죠. 소득 부분은 세금을 내야지만 국가에서 인정을 해줍니다. 직장인들이 소득을 인정받는 시기는 연말정산 끝난 이후죠. 매년 3월에 정산이 완료됩니다. 사업자는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고나서 7월에 완료가 되죠. 2024년 기준을 쓰려면 2024년 한해 소득을 국가로부터 인정받아야 되요.
직장인의 경우 2024년 3월 이후부터 가입하는 분들, 사업자의 경우 2024년 7월 이후부터 가입하는 분들이 2024년 중위소득 기준을 사용하는 겁니다.
2022년, 2023년 기준도 이거랑 똑같은 개념이니까 대입해보면 쉽게 답이 나옵니다.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