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가입 불가 해결 방법 3가지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가입 불가 해결 방법 3가지에 대해서 소개한다. 중복 가입이 안되서 후발주자인 도약계좌 인기가 시들하다. 희망적금 만기가 다가오면 폭발적으로 몰릴 것이기 때문에 미리 준비해두는 차원에서 본 내용을 참고하기 바란다.

[ez-toc]

들어가기 전에

청년희망적금 만기일이 다가오고 있다. 간격을 두고 2번 모집했는데, 2022년 2월에 1차 모집에 몰렸던 분들은 2024년 2월에 만기일이 된다. 7월 모집자는 24년 7월이 만기. 1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이다. 자유납입 방식이라서 개인마다 수령액이 다르긴 하겠지만 꾸준히 매달 50만원씩 넣은 사람들은 적어도 1,200만원 이상 수령액을 받게 된다.

청년도약계좌와 중복 가입이 불가능해서 희망적금을 해지할지 고민하는 분들이 많을 텐데, 만기까지 버텼다가 도약계좌에 가입해도 정부 기여금을 100% 다 받아낼 수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 말자. 시간만 살짝 지체될 뿐이다.

해결 방법

중복 가입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예외사항이 있다거나 꼼수가 있는 것은 아니다. 도약계좌를 빨리 가입하지 못하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1. 청년도약계좌 최대 수익 얻기

해당 계좌에 납입하면 얻을 수 있는 이득은 은행 이자, 비과세, 정부 기여금 3가지다. 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데, 5년이라는 긴 시간동안 정부 기여금을 최대한 받을 수 있도록 한도 끝까지 납입하는게 핵심이다. 기여금 매칭비율은 최대 6%, 개인소득이 낮을 수록 매칭비율이 커지는 구조다. 가입 전에 미리 본인 재무 구조를 재설계하는 걸 추천하고, 5년 만기 이후에 받을 수 있는 수령액으로 무엇을 할지 고민하는 것도 좋겠다.

2. 청년도약계좌 월 수익만큼 보상받기

앞서 얘기한대로 납입금 제외하고 얻는 은행 이자, 비과세, 정부 기여금은 월 최대 4~5만원 밖에 안된다. 도약계좌가 무슨 황금알을 낳는 보물이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그럼 가입이 늦어지는 만큼 월 4~5만원에 대해서 다른 방법으로 보상받으면 어느정도 해결이 될 것이다. 억지로 돈을 아껴서 저정도 돈을 보상받자는게 아니다. 패시브 보상이라고 해서 내가 굳이 노력하지 않고 세금 환급금, 카드 혜택 등을 이용하는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별도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란다.

3.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액 투자

재테크 종류가 많은 게 아니다. 주식, 코인, 부동산 중에 하나를 선택하겠지. 청년희망적금의 만기 수령액이 1,000만원 정도 밖에 안되지만 그동안 모아둔 것까지 합치면 소액 아파트 정도는 투자 가능한 수준일 것이다. 투자는 답이 없기 때문에 길게 언급하는 건 시간 낭비.

내가 추천하는 것은 확실한 수익이 보장되는 상품이다. 청년 소득공제 펀드, 개인연금저축 펀드 2가지다. 둘다 연말정산때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고, 수령받을 때 비과세 혜택도 포함된다. 이것만 해도 수익률로 따지면 어마무시하다. 그리고 펀드 상품이기 때문에 주식 투자도 겸할 수 있다는게 핵심 포인트. 안정된 수익 보장과 공격적인 투자 2가지가 결합되었기 때문에 사회초년생에게 딱 맞는 투자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가입 불가 해결 방법 3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갈아타기 수익화 전략 3가지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 미충족 해결 방법 3가지

청년도약계좌 조건 3가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