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e 하이패스 등록 방법 3단계 및 사용 후기

본 포스팅은 현대 e 하이패스 등록 방법 3단계 및 사용 후기에 대해서 공유한다. 카페이 가입, e하이패스 등록, 톨게이트 통과 순으로 내용을 정리했다. 나는 다행히 인식이 잘 되어서 완벽하게 해결되었는데, 되는지 안되는지 직접 테스트해보고 해결방법을 모색하자.

[ez-toc]

카페이 vs e 하이패스

카페이는 차량 내에 설치된 결제 서비스이고, 카페이 안에 e 하이패스 기능이 추가된다. 상위와 하위 개념인 셈이다. 딱히 새롭게 느껴지지는 않는데, 한번 해놓으면 진짜 편하다. 이번에 그랜저 GN7 풀체인지부터 도입이 되었고, 그 뒤로 코나, 싼타페 mx5도 적용되어서 나왔고 이후 나올 신차에 대해서 줄줄이 적용될 것이다. 참 다행인것은 깡통 모델부터 적용이 되는 부분이라서 이걸로 옵션 장난은 치지 않는다.

등록 방법

1. 카페이 가입

아이폰, 아이패드 쓰려면 애플 계정이 있어야 하듯이 현대 카페이 쓰려면 현대 계정이 있어야 한다. 현대 계정 이름이 좀 멋스럽지 않아서 블루링크라고 이름을 지었는데 오히려 더 헷갈리는 듯하다. 블루 링크를 통해서 모든 서비스가 연동이 되는 방식이라는 점 기억하자. 다음 순서대로 하면 카페이 사용 준비는 끝난다. 차량 내비게이션으로 뭔가 조작할 필요가 없다. 알아서 연동되는 방식이기 때문.

블루링크 앱 > 카페이 > 로그인 > 차량 및 카드 등록 > 끝

e 하이패스 등록 화면
e 하이패스 등록 화면


2. e 하이패스 등록

카페이 가입할 때 본인이 결제할 신용카드를 등록하듯이 하이패스 카드를 등록만 하면 끝난다. 아래 경로를 이용하도록 하자.

블루링크 앱 > 카페이 > e 하이패스 > 차량 선택 및 카드 등록 > 끝


여기에서 제일 중요한게 이제 카드 호환 여부다. 실물카드로 받는게 아니라 카드를 신청하면 모바일 디지털 카드로 발급이 된다. 번호만 입력해서 등록만 하면 되도록 해두었기 때문에 정말 편하다. 선불은 안되고 무조건 후불 하이패스 카드만 등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카드라는게 여러 이해관계가 얽혀있기 때문에 시스템이 구축되었다고 하더라도 카드사들이 전부 허용을 해야지만 모든 카드를 쓸 수 있는 것이다.

일단 기존에 등록해놓은 신용카드가 e하이패스 기능이 되는지 자동으로 표기가 되기 때문에 이것부터 확인을 하자. 이게 없거나 본인이 다른 걸 쓰고 싶다고 하면 현재까지는 현대카드와 신한카드에서만 종류만 지원이 가능하다는 것을 참고하자.

3. 톨게이트 통과

등록된 상태로 하이패스 차로를 통과해보자. 이 때 인식이 안되서 실수가 나더라도 상관없다. 어차피 미납된 요금에 대해서 불이익이 있는게 아니고 문자로 청구서 날라오면 납부하면 그만이다. 하이패스 단말기도 천장쪽에 깔끔하게 설치가 되어있고, 실물카드도 안쓰고 디지털로 카드가 등록되어있는 상태라서 내부 자체가 깔끔할 것이다. 신차 구매한 느낌을 물씬 풍기면서 재미있게 운전하자.

지금까지 현대 e 하이패스 등록 방법 3단계 및 사용 후기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자동차세 감면 대상 및 기준 3가지

자동차세 연납 환급 방법 3가지

하이패스 후불카드 미납통행료 자동납부 방법 3단계

Leave a Comment